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3D 모델링 프로그램 비교 3ds Max, Maya, Blender

블렌더 (Blender)

by blendergeek_cicada 2023. 4. 2. 16:54

본문

반응형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안녕하세요. 블랜더긱 씨카다 입니다.
이 블로그는 블렌더에 대한 내용과 튜토리얼을 주로 다룰 것입니다.

 

 

오늘은 3D 모델링 프로그램인  3ds Max, Maya, Blender에 대해서 개괄적인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위 프로그램들은 현재 엔터테인먼트 산업, 건축업, 게임개발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가장 유명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이 3가지 프로그램들은 호환성의 측면에서 상당히 비슷한 측면들이 있으면서, 동시에 각각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1. 3D맥스(3ds Max) 

- 오토데스크가 개발하였습니다.(미국)
- 게임개발, 시각효과 산업의  3D모델링, 애니메이션, 렌더링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업계표준? 프로그램입니다.
- 3D모델링, 애니메이션, 라이팅, 텍스처링에 필요한 강력한 툴 세트를 제공합니다.

- 오토데스크가 개발하였기 때문에 다른 오토데스크사가 개발한 다른 프로그램들과 높은 호환성을 보입니다.

- AutoCAD를  예로 들수 있는데, 이 프로그램 또한 업계 표준 소프트웨어이며, 업계 표준이 되는 프로그램 간에 파일의 임포트와 익스포트의 제약이 없다는 것이 강점입니다.

 

 

2. 마야(Maya)  

-이 소프트웨어도 오토데스크가 개발하였습니다.(미국)

-영화, TV, 게임개발 영역에서 파워풀한 3D 애니메이션, 모델링, 시뮬레이션, 렌더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캐릭터 애니메이션, 리깅, 시뮬레이션에서 필요한 포괄적인 툴을 제공합니다.

-캐릭터 애니메이터, VFX(시각효과) 아티스트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오픈 아키텍쳐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MEL, Python(Computer Language)으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3. 블렌더(Blender)

-오픈 소스로 무료로 사용가능합니다.(네덜란드)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렌더링이 필요한 게임개발, 건축, 영화제작을 포함한 그외 다양한 목적으로서의 사용되고 있습니다.

-유저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3D맥스나 마야에 비해 배우기가 쉽기 때문에, 취미나 개인적인 용도로 유저들이 선택하는 인기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유저들간의 강력한 커뮤니티(포럼, 여러소스)  덕분에 새로운 기술의 반영이 빠릅니다.(전 세계 사용자들의 아이디어 제안, 버그 리포트, 코드 기여로 발전 속도도 매우 빠릅니다.)

-블렌더재단은 매년 전 세계의 블렌더 디자이너가 함께 어울리며 그들의 지식과 작품을 공유할 수 있는 블렌더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3D맥스는 게임개발, 시각효과에 특화되어있고, 마야는 캐릭터 애니메이션과 시뮬레이션, 블렌더는 주로 취미나, 초심자들에게 인기가 있는 광범위 하게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용요금은 3D맥스, 마야는 2023.04.02기준 312,904/매월 결제 시, 2,474,122/연간 결제 시, 7,422,367/3년 단위 결제 시 로 동일합니다. 블렌더는 무료이나 자발적인 기부(Donation)을 제시하며, 추가적인 기능이나 트레이닝, 지원이 필요할 경우 블렌더 클라우드 서비스(약10유로(14,000원)/월, 90유로(126,000원)/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블렌더는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수많은 아티스트와 디자이너에 의해서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 중 가장 유명한 블렌더 아티스트를 꼽으라고 한다면 Andrew Price와 Ian Hubert를 언급할 수 있습니다.

Andrew Price는 호주출신의 3D아티스트이며, 블렌더 커뮤니티에서 Blender Guru(블렌더 전문가)로 존경받는 인물입니다. 그는 온라인에서 수많은 블렌더 튜토리얼과 블렌더 강좌를 제공하고 있으며, 3D모델링과 디자인에 대한 책들도 출간하였습니다. Ian Hubert는 시애틀에 거주하는 미국출신의 프리랜서 시각효과디자이너로 Youtube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넷플릭스 시리즈 "Love, Death & Robots."의 제작에 참여했습니다.

 


블렌더의 발전 속도가 가속화 되면서 유명한 전문 영화 제작사에서도 블렌더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영화제 수상작인 단편영화 "Hero"와 넷플릭스 시리즈 "Love, Death & Robots."는 블렌더를 사용하여 만든 대표적인 작품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비싼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기능들을 제공하면서, 유저 친화적이며, 강력한 커뮤니티, 오픈소스라는 강점이 있어 향후 3D 업계에서의 Blender의 점유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