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렌더, 글로벌좌표계, 로컬좌표계
안녕하세요. 블랜더긱 시카다 입니다.
이 블로그는 블렌더에 대한 내용과 튜토리얼을 주로 다룰 것입니다.
블렌더에서의 글로벌 좌표와 로컬 좌표는 3D 공간에서 객체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설명을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1. 글로벌 좌표(Global Coordinates):
글로벌 좌표는 3D 공간에서의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냅니다. 이는 장면 전체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객체의 위치와 방향을 정의합니다. 블렌더 내에서, 글로벌 좌표를 사용하면 장면 내의 다른 모든 객체와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고려하여 객체를 배치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
2. 로컬 좌표(Local Coordinates):
로컬 좌표는 객체 자체의 지역적인 좌표 시스템입니다. 즉, 객체가 자신의 내부에서 사용하는 좌표 체계를 말합니다. 객체의 로컬 좌표는 해당 객체의 중심이 원점(0,0,0)에 위치하고, 객체의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됩니다. 로컬 좌표를 사용하면 객체의 내부적인 변환과 조작을 수행할 때 유용합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가상의 3D 공간에서 한 개의 상자를 상상해봅시다. 이 상자의 글로벌 좌표는 장면 전체에서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냅니다. 만약 이 상자가 (3, 0, 2) 위치에 있다면, 이는 전체 장면 내에서의 위치입니다.
이제 이 상자의 로컬 좌표를 생각해봅시다. 상자의 중심이 원점에 위치하고, 상자의 앞쪽을 기준으로 좌표가 정의됩니다. 만약 상자의 로컬 좌표가 (0.5, 0, 1)이라면, 상자 내부에서 앞쪽으로 0.5만큼, 오른쪽으로 0만큼, 위쪽으로 1만큼 떨어진 지점을 나타냅니다.
요약하자면, 글로벌 좌표는 전체 장면에서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고, 로컬 좌표는 객체 자체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두 좌표 시스템을 이해하면 블렌더 내에서 객체를 배치하고 조작하는 것이 더욱 수월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