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블렌더, 리깅에 사용하는 주요 Constraint

블렌더 (Blender)

by blendergeek_cicada 2023. 7. 31. 23:29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랜더긱 시카다 입니다.
이 블로그는 블렌더에 대한 내용과 튜토리얼을 주로 다룰 것입니다.

모델링이 완성된 오브젝트에 생동감을 주기위해서는 리깅작업을 필요합니다. 이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Basic Armature 을 사용해서 별도의 Constraint작업 없이 오브젝트에 페어런팅을 하면 동작에 일관성이 떨어지고 일일이 손봐야하기때문에 불편하기도 하고, 관절같은 부분은 어색하게 보이기 때문에 리깅을 하기 전에 Armature의 각 뼈들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를 생성하고 Constraint를 걸어줘야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Constraint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기본적으로 이해를 해야 가능합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5가지 Constraint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1. Damped Track - Owner bone이 Target bone를 따라가게한다

 

 


2. Stretch to - Owner bone이 Target bone을 따라가면서 늘어난다.(관절, 얼굴, 척추, 뼈등 전반적으로 다 쓰임)

 

 


3. copy transforms - Target bone의 변형(위치,회전,크기)을 그대로 Owner Bone에 복사한다.

4. transformation - Target bone의 변형을 그대로 Owner bone에 복사하면서 XYZ축 위치,회전,크기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더 넓다.


 

 

5. IK(Inverse Kinematics) - Target bone의 움직임으로 Owner bone을 포함한 연결 bone들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관절용 (팔, 다리용)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