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블렌더, 인스턴스(Instance) 생성하기

블렌더 (Blender)

by blendergeek_cicada 2023. 4. 10. 21:26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랜더긱 시카다 입니다.
이 블로그는 블렌더에 대한 내용과 튜토리얼을 주로 다룰 것입니다.

 


블렌더에서 인스턴스(Instance)는 하나의 객체를 복제하여 여러 개의 객체를 생성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기본 객체를 사용하여 다수의 객체를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객체들은 모두 기본 객체와 같은 속성을 가지지만, 위치, 회전, 크기 등의 속성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기능은 다수의 복제된 객체를 만들 때 유용하며,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대규모 모델링 프로젝트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수백 개의 나무를 배치할 때, 하나의 나무 객체를 만들고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배치하면, 수백 개의 나무를 복제하여 생성할 필요 없이 메모리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아웃라이너에서 인스턴스로 만들고자 하는 Collection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합니다.
2. Instance to Scene을 클릭합니다.

 

 

 

 

 

3. 원본 Collection 아래에 Instance가 생성되었습니다.

생성된 인스턴스의 왼쪽 아이콘을 보시면 박스 2개가 겹쳐있으면서 원본 Collection의 박스가 오른쪽에 표시됩니다.

 

 

 

 

 

 

4. 원본인 Tree Collection가 Viewport에 있을 때 상태표시줄입니다.(메모리 45.1MiB)

 

 

 

5. 원본을 10개로 복사해서 사용했을때 상태표시줄입니다.(메모리 502.4MiB)

 

 

 

6. 인스턴스를 10개로 복사해서 사용했을때 상태표시줄입니다. (메모리 65.1MiB)




위의 상태표시줄을 보면, 원본을 여러개로 복사해서 사용하면 메모리 사용량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인스턴스를 여러개 복사해서 사용하면 메모리가 훨씬 적게 사용된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원본을 수정하면 인스턴스가 자동으로 수정이 되기 때문에 일일이 하나하나 수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Viewport상에 여러 오브젝트가 동시에 배치되는것을 감안한다면 메모리를 최대한 줄여 부하를 줄여야 작업중 버벅거리거나 셧다운 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같은 오브젝트를 여러개 사용하셔야 한다면 반드시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