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라이트 깜빡거리는 효과 만들기 (Flickering light effect)

블렌더 (Blender)

by blendergeek_cicada 2023. 4. 11. 22:05

본문

반응형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안녕하세요. 블랜더긱 시카다 입니다.
이 블로그는 블렌더에 대한 내용과 튜토리얼을 주로 다룰 것입니다.

 

 

블렌더에서 깜빡이는 불빛 효과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시도해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입니다:

 


1. Emission Shader 사용하기: 빛원에 Emission Shader를 추가하고 시간에 따라 강도를 애니메이션하여 빛이 깜빡이는 것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습니다.

 

2. 노이즈 텍스처 사용하기: 강도에 노이즈 텍스처를 추가하여 불빛의 깜빡임 효과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Noise 텍스처를 Emission Shader의 강도 입력에 연결하고 시간에 따라 노이즈 텍스처를 애니메이션화하면 됩니다.

 

3. 타임 노드 사용하기: Time 노드를 쉐이더 네트워크에 추가하고 Emission Shader의 강도 입력에 연결하여 깜빡이는 불빛 효과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Time 노드를 애니메이션화하여 깜빡임 효과를 만들어주면 됩니다.

 

4. 파티클 시스템 사용하기: 파티클 시스템을 사용하여 불빛을 방출하는 입자를 생성하고, 방출 비율을 시간에 따라 애니메이션화하여 깜빡이는 효과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5. 키프레임 애니메이션 사용하기: 깜빡이는 불빛 효과를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빛의 강도를 시간에 따라 키프레임 애니메이션화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빛을 선택하고 속성 창을 열어 Object Data 탭으로 이동한 다음, Light 섹션에서 강도 속성을 애니메이션화하여 깜빡이는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위의 다섯가지 방법중 마지막 방법으로 불빛을 깜빡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Object Data Properties ▶ Power, 0 W 셋팅 Animation Property(오른쪽에 점)을 클릭해서 사각형으로 만들기

 

 

 

 

 

2. Timeline을 Gragh Editor로 변경 ▶ Light 하위의 Power을 선택 

 

 

 

 

 

3. Gragh Editor 오른쪽에 Modifiers를 선택 ▶ Modifier 탭 ▶ Add Modifier ▶ Noise ▶ Strength 조정(원하는만큼)

 

 

 

 

 

 

4.  Add Modifier ▶ Stepped Interpolation ▶ Step Size 조정(원하는만큼)

 

 

 

 

 

5. Add Modifier ▶ Limits ▶ Minumum X(프레임시작점) 지정 ▶ Maximum X(프레임끝점) 지정

 

 

 

 

 

6. Shift+Space로 불빛이 깜빡이는지 Play 해보기 (빛이 잘 깜빡이는지 확인해보기 위해서 박스를 씌워서 실행했습니다.)

 

 

 

깜빡이는 불빛은 주의를 분산시키므로, 씬 전체적인 시각적 효과에 기여하는 경우에만 사용하고, 가능한한 절제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